“우리 강아지, 지금 사료 양이 맞는 걸까?” 반려견을 키우다 보면 가장 자주 검색하게 되는 주제가 바로 하루 사료 급여량입니다. 저도 처음에는 사료 포장지에 적힌 “하루 00g” 표만 보고 대충 따라 했다가, 아이 몸무게가 점점 늘고, 어느 순간 숨이 차 보이는 걸 보고 나서야 ‘우리 집 아이에게 맞는 양’을 계산해야 한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사료 포장지의 표는 “평균값”일 뿐입니다.
견종·체중·생활 방식에 따라 우리 집 강아지에게 맞는 1일 급여량을 직접 계산해 보세요.
이 글에서는 몰티즈, 푸들, 포메라니안, 비숑프리제, 시바견, 골든리트리버 등 사람들이 많이 키우는 견종을 예시로 사용해서,
- 수의학에서 사용하는 표준 칼로리 공식을 쉽고 현실적으로 풀어서 설명하고
- 체중과 사료 칼로리만 알면 집에서 직접 g(그램) 단위로 계산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고
- 견종별 예시 표로 하루 급여량 감을 잡을 수 있도록 정리
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 이 글은 건강한 성견 기준의 일반 가이드이며, 질병·비만·성장기·노령견은 반드시 수의사와 상담이 필요합니다.
1. 강아지 사료 양, 왜 ‘그램’보다 ‘칼로리’부터 봐야 할까?
많은 보호자들이 “하루에 몇 g 줘야 하나요?”라고 질문하지만, 사실 그보다 먼저 봐야 할 건 “하루에 몇 kcal가 필요한가?”입니다.
같은 100g 사료라도,
- A 사료: 100g당 350 kcal
- B 사료: 100g당 420 kcal
라면, 단순히 “100g”을 기준으로 급여했을 때 칼로리는 완전히 달라지게 됩니다. 그래서 1) 필요한 칼로리 → 2) 그 칼로리를 g로 환산하는 순서가 훨씬 정확합니다.
2. 수의사가 쓰는 하루 칼로리 공식, 쉽게 설명하면?
수의학적으로는 보통 다음 공식을 사용해 강아지의 하루 필요 칼로리(대략 값)를 계산합니다.
① RER(기초 에너지 요구량)
RER = 70 × (체중(kg))0.75
숨 쉬고, 심장이 뛰고, 가만히 살아 있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입니다.
② MER(유지 에너지 요구량)
실제 생활에서는 산책도 하고, 놀기도 하고, 짖기도(!) 하니까 RER에 활동 계수를 곱해줍니다.
- 중성화된 성견(실내 생활 위주):
RER × 1.4 ~ 1.6 - 매우 활동적인 견, 작업견:
RER × 1.8 ~ 2.0 - 다이어트가 필요한 비만견:
RER × 1.0 ~ 1.2수준으로 조절
이번 글에서는 “일반적인 중성화 성견” 기준으로 MER = RER × 1.6을 예시로 사용할게요.
이 공식은 어디까지나 대략적인 가이드입니다. 나이, 질병, 체형, 생활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특별한 질환이 있거나 다이어트·비만 관리 중이라면 반드시 수의사와 상의해야 합니다.
3. 집에서 직접 계산하는 4단계 (체중 → 칼로리 → g)
집에서 계산하는 흐름은 다음 4단계입니다.
- 강아지의 현재 체중(가능하면 이상체중)을 잰다.
- RER 계산:
70 × 체중(kg)0.75 - MER 계산:
RER × 1.6(일반 성견 기준) - 사료 칼로리로 g 환산:
사료 포장지에서 “100g당 kcal” 또는 “1컵당 kcal”를 확인한 뒤,하루 필요 kcal ÷ (사료 kcal / 100g) = 하루 필요 g
3-1. 예시 공식 (사료 100g당 360 kcal인 경우)
요즘 많이 쓰는 프리미엄 사료들은 100g당 350~380 kcal 정도가 많습니다. 여기서는 계산이 편하도록 100g당 360kcal인 사료를 기준 예시로 사용할게요.
하루 필요 g = (하루 필요 kcal) ÷ 3.6 (왜냐하면 100g에 360kcal → 1g에 3.6kcal이기 때문입니다)
4. 견종별 예시 보기 전에 알아둘 것
아래 견종별 계산은 “건강한 중성화 성견 + 100g당 360kcal 사료 + 실내 생활 + 하루 1~2번 산책”을 기준으로 한 예시입니다.
- 아이 체형이 매우 말랐거나, 이미 비만이라면 그대로 적용하면 안 됩니다.
- 사료 칼로리(100g당 kcal)는 제품마다 다르니, 반드시 포장지에 적힌 숫자로 다시 계산해 주세요.
- 하루 양을 2~3번으로 나누어 급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5. 몰티즈 3kg 기준 하루 급여량 계산 예시
먼저 3kg 몰티즈 성견을 예로 들어 볼게요.
5-1. 1단계: RER 계산
RER = 70 × 30.75 ≈ 160kcal
5-2. 2단계: MER 계산 (중성화 성견, 활동량 보통)
MER = RER × 1.6 ≈ 160 × 1.6 = 256kcal
5-3. 3단계: 사료 g로 환산 (100g당 360kcal 기준)
하루 필요 g ≈ 256 ÷ 3.6 ≈ 71g
즉, 3kg 몰티즈 성견 기준으로 100g당 360kcal인 사료를 급여한다면, 하루 약 70g 전후가 기준이 됩니다. 이를 아침·저녁으로 나누면 한 번에 약 35g 정도가 되겠죠.
6. 푸들(토이) 4kg 기준 하루 급여량 계산 예시
다음은 4kg 토이푸들 성견 기준입니다.
6-1. RER 계산
RER = 70 × 40.75 ≈ 198kcal
6-2. MER 계산
MER = 198 × 1.6 ≈ 317kcal
6-3. g로 환산
하루 필요 g ≈ 317 ÷ 3.6 ≈ 88g
즉, 토이푸들 4kg 성견은 하루 기준 85~90g 정도가 한 기준선이 됩니다. 활동량이 매우 적다면 80g 전후, 굉장히 활발하다면 90g을 넘지 않는 선에서 조절해 볼 수 있습니다.
7. 포메라니안 3.5kg 기준 하루 급여량 계산 예시
이번에는 3.5kg 포메라니안 성견을 예로 들어 볼게요.
7-1. RER 계산
RER = 70 × 3.50.75 ≈ 179kcal
7-2. MER 계산
MER = 179 × 1.6 ≈ 287kcal
7-3. g로 환산
하루 필요 g ≈ 287 ÷ 3.6 ≈ 80g
포메라니안 3.5kg 성견 기준 하루 약 80g 정도가 기준이며, 슬개골·관절 부담을 줄이기 위해 실제로는 75~80g 구간에서 관리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8. 비숑프리제 5kg 기준 하루 급여량 계산 예시
다음은 5kg 비숑프리제 성견입니다.
8-1. RER 계산
RER = 70 × 50.75 ≈ 234kcal
8-2. MER 계산
MER = 234 × 1.6 ≈ 375kcal
8-3. g로 환산
하루 필요 g ≈ 375 ÷ 3.6 ≈ 104g
5kg 비숑 성견 기준 하루 약 100~105g 정도가 기준입니다. 피부·알레르기 관리 차원에서 간식을 많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간식을 자주 주는 집이라면 사료는 90~95g 수준으로 낮추고 간식 칼로리를 포함해서 총량을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9. 시바견 9kg 기준 하루 급여량 계산 예시
중형견에 가까운 9kg 시바견 성견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9-1. RER 계산
RER = 70 × 90.75 ≈ 364kcal
9-2. MER 계산
MER = 364 × 1.6 ≈ 582kcal
9-3. g로 환산
하루 필요 g ≈ 582 ÷ 3.6 ≈ 162g
9kg 시바 성견 기준, 하루 160g 전후가 기준입니다. 여기서 활동량이 많다면 170g, 실내 생활이 많고 살이 잘 찌는 타입이라면 140~150g까지 낮춰 볼 수 있습니다.
10. 골든리트리버 28kg 기준 하루 급여량 계산 예시
마지막으로 28kg 골든리트리버 성견 기준입니다.
10-1. RER 계산
RER = 70 × 280.75 ≈ 852kcal
10-2. MER 계산
MER = 852 × 1.6 ≈ 1,363kcal
10-3. g로 환산
하루 필요 g ≈ 1363 ÷ 3.6 ≈ 379g
28kg 골든 성견 기준, 하루 약 370~380g이 기준이 됩니다. 다만 골든리트리버는 비만·관절질환에 특히 취약하므로, 실제로는 체형(갈비뼈 만져지는 정도)을 보면서 350g 전후까지 조절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0-4. 견종별 예시 요약 표 (사료 100g당 360kcal 기준)
| 견종 | 예시 체중 | 하루 필요 칼로리 (대략) | 하루 사료량 (대략 g) |
|---|---|---|---|
| 몰티즈 | 3kg | 약 250~260 kcal | 약 70g |
| 토이푸들 | 4kg | 약 310~320 kcal | 약 85~90g |
| 포메라니안 | 3.5kg | 약 280~290 kcal | 약 80g |
| 비숑프리제 | 5kg | 약 370~380 kcal | 약 100~105g |
| 시바견 | 9kg | 약 570~590 kcal | 약 160g |
| 골든리트리버 | 28kg | 약 1,350~1,380 kcal | 약 370~380g |
위 표는 어디까지나 “감”을 잡기 위한 참고용입니다. 반드시 각 집 상황·사료 칼로리에 맞게 다시 계산해 주세요.
11. 급여량 조절이 필요한 경우 (살이 찌거나, 너무 마른 경우)
위 계산대로 주고 있는데도 살이 계속 찌거나, 너무 마른 느낌이라면 단순히 “사료가 안 맞나?”만 보기보다는 다음을 함께 체크해 보세요.
- ① 간식 칼로리 — 훈련용 한두 개 정도가 아니라면, 하루 총 칼로리에서 간식 칼로리도 반드시 포함해야 합니다.
- ② 운동량 — 하루 10분 산책과 1시간 산책은 완전히 다른 생활입니다. MER 계수를 1.4, 1.6, 1.8 등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 ③ 체형 체크 — 갈비뼈가 살짝 만져지는지, 위에서 봤을 때 허리가 살짝 들어가 있는지 등을 함께 체크합니다.
살이 찌는 것 같다면 일단 1~2주 동안 10% 정도만 줄여서 변화를 보고, 너무 마르면 10% 정도만 늘려서 반응을 확인해 보는 식으로 작게 조절 → 2주 경과 관찰이 가장 안전합니다.
12. 한눈에 보는 정리 & 활용 팁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많이 키우는 견종들을 예시로, 견종별 하루 급여량 계산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 1) 먼저 칼로리부터 계산한다. RER = 70 × 체중(kg)0.75 → MER = RER × 1.6(성견 기준)
- 2) 사료 포장지에서 “100g당 kcal”를 확인한다.
- 3) 하루 필요 kcal ÷ (사료 kcal / 100g) = 하루 g
- 4) 견종별·체형별로 10~15% 범위 안에서 조절하며 관찰
이 공식을 한 번 익혀두면, 사료 브랜드를 바꾸더라도 우리 집 강아지에게 맞는 “양”을 항상 직접 계산할 수 있습니다. 견종별 특성(관절, 비만, 피부 등)을 기억하면서, “사료 선택 + 급여량 계산 + 간식 관리” 이 세 가지만 잡아도 병원에 갈 일은 훨씬 줄어들 거예요.
'반려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비만견 전용 사료 브랜드 비교 + 최신 반려견 영양 가이드 총정리 (0) | 2025.11.26 |
|---|---|
| 2025년 강아지 비만 확인법 끝판왕: BMI·BCS 체형 점수로 살찐 강아지 구별하는 방법 + 견종별 적정 체중표 (0) | 2025.11.25 |
| 2025년 강아지 나이별 사료 가이드: 퍼피·성견·노령견 급여량·영양 차이 총정리 (TOP6 견종 맞춤형) (0) | 2025.11.25 |
| 2025년 인기 강아지 TOP6, 견종별 사료·간식·식단 규칙 총정리 (영양 관리 실패 시 생기는 질병까지) (0) | 2025.11.24 |
| 강아지 유형별 처음 30일 완벽 가이드 — 초보 보호자·퍼피·성견 입양 (0) | 2025.11.24 |
| 강아지와 처음 30일 완벽 가이드 — 적응·훈련·생활 루틴 만들기 (0) | 2025.11.24 |
| 반려견이 자주 겪는 질병 10가지와 초기 증상 알아보기 — 보호자가 꼭 알아야 할 건강 신호 (0) | 2025.11.24 |
| 반려견 스트레스 신호 15가지 — 보호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행동 심리 (0) | 2025.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