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두드러기

직장인 괴롭힘 실전양식과 노무상담 사례 및 소송 서류 양식

by think-14 2025. 9. 29.
반응형

직장인 괴롭힘 실전양식과 노무상담 사례 및 소송 서류 양식

 

서론 ― 괴롭힘 증거와 진술, 신속한 대응의 핵심

직장 내 괴롭힘은 단순한 인간관계 문제가 아니라 법적으로 인격권을 침해하는 중대한 사안입니다. 정확한 증거, 신뢰성 높은 진술, 피해 심리에 대한 객관적 기록 등은 회사의 고충처리, 외부 노무상담·행정구제, 배상 소송 등에서 결정적 역할을 합니다.
이 글에서는 조직 내 고충제기 공식 양식, 익명 및 동료 진술서 예시, 실제 심리피해 상담기록 샘플까지 구체적으로 안내합니다.


본론 ― 실전 양식, 진술서, 상담·소송 활용

1. 공식 고충제기(신고) 양식 예시

 

[직장 내 괴롭힘 고충제기 신청서]
- 작성자: 홍길동 (OO팀, 2025.9.27)
- 대상자: 김팀장(OO팀장)
- 발생일시/장소: 2025.9.25, 본사 3층 회의실 외
- 구체적 피해:
  · 회의 도중 내 발언 반복적으로 끊음·무시
  · 회의 자료에 내 의견 반복 누락
  · 점심, 휴게시간 등 사적 공간서 조롱·비웃음
- 증거자료: 회의록, 녹음, 동료 진술서, 상담(병원 진단서 첨부)
- 피해증상: 스트레스, 불면, 우울증(최근 진단서 첨부)
- 요구사항: ① 조사 후 피해-가해자 분리 ② 2차 피해 방지(익명보장·불이익 금지) ③ 회의문화 개선 및 가해자 인격교육
서명: 홍길동

2. 익명/동료 진술서 예시

■ 익명 증언(목격자·동료)

[익명 동료 진술서]
- 작성자: OO팀 3년차(익명)
- 진술내용:
  · 회의 3회 이상에서 홍씨 발언이 반복적으로 끊기고 팀장 또는 동료의 조롱·비웃음을 확인.
  · 회식/출장 등 비공식 자리에서도 “쟤는 왜 저래” 등 조롱·외면장면 목격.
  · 피해자가 점차 말수가 줄고, 표정이 어두워지는 변화 확실히 관찰함.
2025.9.27
(해당 고충위·노무담당에 제출, 신원 비공개 요청)

■ 공식 동료 증언(노무, 인사팀 제출용)

[동료 증언서]
- 진술자: 박대리(OO부서)
- 진술내용:
  · 조직 내 회의에서 김팀장이 특정 직원(홍길동) 의견을 지속적으로 무시, 발언을 끊음.
  · 동료·타직원 앞 공개적으로 “왜 또 시작이냐?” “필요없는 얘기다” 등 반복 조롱 발언 확인.
  · 피해 직후 홍씨가 눈물을 흘리거나 심리적으로 위축된 모습 여러 번 목격.

작성일: 2025.9.27
(필요시 증명·서명)

3. 피해심리 상담 진단 샘플

■ 심리상담(산재, 고용노동부, 조직내 제출용)

[피해 심리상담 경과기록]
- 내담자: 홍길동(OO팀, 남/여, 입사5년차)
- 상담일자: 2025.9.23(초기), 9.27(2회차)
- 주요진술: “최근 2개월간 회의·팀소통에서 지속적 무시, 발언 끊기, 회식 조롱 등 반복, 결국 불면증·우울감 악화됨”
- 평가결과: 우울, 불안, 대인기피, 일부 PTSD 반응 진단(상담자 평가)
- 권고: 단기 보호조치(환경변경/유급휴가), 장기 심리치료 병행
- 상담자: OOO(상담심리사 1급)

기관/병원 제출용·서명 첨부

4. 소송 서류·노무상담 사례 요약

■ 소송(손해배상 청구) 기본 샘플

[소장 요약문]
- 원고: 홍길동(피해자)  /  피고: 김팀장 또는 회사
- 청구내용: 회의 중 발언 차단, 공식 의견 누락, 조롱 언행 → 정신적 손해 500만원 위자료 지급
- 증거: 녹음, 회의록, 동료 진술, 상담(진단서 등)
- 법적 근거: 근로기준법 76조2, 민법 손해배상, 관련 판례

■ 노무상담 사례

"팀 회의에서 반복적으로 발언이 끊기거나, 동료들 앞에서 비아냥 당하는 스트레스로 잠을 이루지 못합니다. 회의녹음, 회의록, 동료 진술을 확보해 노무사 상담→회사 공식 신고 후 조사 및 피해자 분리, 심리치료·손해배상 청구까지 진행되는 단계적 권리구제 방식이 핵심입니다."

 


결론 — 공식양식·진술·상담기록이 괴롭힘 방어와 치유의 시작점이자 첫 관문입니다.

구체적 신고서·진술서·상담 진단기록·소송서류는 피해 입증과 구제를 위한 핵심입니다.
조직내 신분보호, 2차 피해 방지 요구와 함께, 기록을 꾸준히 남기는 자기방어 습관을 기르세요.
동료와 함께 진술·증언을 준비하고, 정신적 심리상담 기록까지 체계적으로 모으면
노무상담, 행정·법원‧조직 절차에서 단단한 권리방어 기반이 됩니다.

반응형